2015년 2월 중국광동성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핵심기업 PMI) 상황 (출처 : HKTDC)
2015년 2월 중국광동성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핵심기업 PMI) 상황
2015년 2월, 중국광동성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핵심기업 PMI)는 47.0 으로 이전 달 대비 3.1% 하락했다.
다섯가지 핵심지수 중에서 배송시간 지수이외에 나머지 네 가지 항목 지수는 이전 덜 대비 하락했다.
생산지수(생산량)은 47.9로, 이전달 대비 3.9% 하락했다. 중점 업종 중, 석유 화학, 자동차제조, 직물, 전기기계 등 업계 생산량이 상당수 감소했다.
신규오더지수(상품오더)는 48.6으로 이전달 대비 2.7% 하락했다. 광정우, 포산(佛山), 동관(東莞), 장먼(江門) 등 도시에서 인터뷰 응답 기업의 과반수 이상이 생산량이 이전달 대비 감소된 것으로 집계됐다.
원재료 재고 지수는 45.5로, 이전달 대비 3.4% 하락했으며, 이는 이번달에 중국 성(省) 제조업기업 원재료 재고율이 감소한 것을 나타낸다. 인터뷰 응답 기업 중 30% 정도의 기업이 원재료 재고율이 이전달 대비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업계종사자지수(생산경영직원)은 41.4로, 이전달 대비 6.4% 하락했으며, 이는 전국 성도시 제조업기업의 고용지수가 이전달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 중에서 동관, 포산 조사 샘플에서는 고용 감소비율이 40% 이상으로 비교적 큰 것으로 집계되었다.
상품 배송시간은 51.4로 이전 달 대비 2.5% 회복 상승했으며 배송 서비스 시간이 다소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2월, 광동성 전자정보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7.7로, 이전달 대비 2.4% 하락했고, 전기기계 및 전문설비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0으로 이전달 대비 0.7% 하락했고, 식품음료업계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7로, 이전달 대비 2.4% 하락했다. 직물 의류업계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6.0으로 이전달 대비 0.1% 하락했다.
전문가 해설
2015년 2월 광동성 PMI 지수는 47.0으로 이전달 대비 3.1% 대폭 하락했으며, 지난 11개월동안의 50% 선 위에서의 상황이 끝났다. 11가지 항목 지수 중 9가지 항목은 이미 50선 이하로 하락했다. PMI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5가지 핵심 지수 중에서 종사자 지수는 41.1로 3년 이래 최하점까지 하락했다. 가장 중요한 생산지수는 47.9 포인트로 이전달 대비 3.9% 하락했다.
천홍위(陳鴻宇) 씨는, 명절 휴가의 영향으로 인해 광동성 제조업 2월달 PMI 수치 모두 50선 이하로 하락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기업의 외지 노동자들이 비교적 많고 일찍이 조기 휴가 신청으로 인해 2월달 정상 영업일수가 부족했고 그로 인해 고용자 수가 현저히 감소했다. 동시에 시장 수요 부진으로 인해 석유화학, 자동차 제조, 전기기계 등 핵심업종 뿐만 아니라 광저우, 포산, 동관 등지의 제조업 핵심지역의 생산량이 감소함으로써 PMI 지수의 대폭 하락을 초래했다고 보고 있다. 천홍위 씨는, 2월달 기업 신규오더와 수출오더장 지수가 동시에 하락하면서 기업의 구매량 지수와 해외오더가격지수 또한 장시간동안 위축 구간에 처해있는 것은 중국의 제조기업이 향후 시장 추세가 그다지 낙관적이지만은 않을 것으로 판단되어 여러 기업들이 생산량과 구매량을 줄이기 시작할 것으로 보여, 거시적인 정책결정권자들의 높은 주목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고 했다.
중국 제조업은 작년에 '온중미진(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미약하게 전진하다)'의 태세를 유지하며 시장 수요 부진의 곤란을 극복하기 위해 중국 국내외에서의 중국상품의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개혁을 추진하고 구조 조정하고 환경을 개선시키는 등 전략적인 업무 방법을 채택하여 사회생산력으로 전환시켜야 한다. 그리고 중소기업들이 위기를 해소 및 극복할 수 있는 자신감 수립을 위해 구체적인 방법을 채택하여야만 한다. 거시적은 측면에서 모든 분야의 제조업 기반을 둔 중소기업들을 지원하며 선진적인 제조 기업들에게 세금 감면 및 부채 감소 등을 실시해 기업들이 난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