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중국 내륙 세탁업 : 소형 매장, 대형 시장

중국 정부 측 통계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중국 내륙 세탁업계 수입이 연평균 18% 이상의 속도가 증대되고 있으며, 시장 규모가 2015년에는 인민폐 1,000억 위안을 초월할 것이라고 했다.

업계 인사가 제공하는 최신 시장 예측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중국 내륙에 7.12억 인구 중에서 적정 소비연령체가 4,91억 명, 세탁 소비인구는 약 3.19억명, 연평균 일인당 세탁에 소비하는 비용은 약 225위안 정도라고 한다. 그 중에서 일상생활 의류와 유니폼(호텔, 병원, 교통운수업 등) 영업액은 약 전체 시장에서 각각 45%,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5%는 다른 업종이다.

'중앙공장매장' 우세 돋보여

자영업자 및 중소기업주가 일상생활 세탁 시장에서 가장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세탁 시장의 추세를 보면, 프랜차이즈, 가맹점 등 통일적인 관리방식과 이미지 마크로 경영하는 세탁 기업이 시장에서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베이징, 상하이 등 대도시에서, 브랜드 지닌 개인 의류 세탁업자가 40%를 차지하고 있고, 그 특징은 외관이 양호하고, 매장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고, 가격이 적합하며 서비스가 양호하다.

일정 규모가 있는 세탁 기업 중, '전점후장(前店後廠 , 매장 데스크에서 의류 접수 수거, 매장 내 뒷편에서 세탁)'과 여러 매장에서 의류 접수 수거 후 중앙 공장에서 집중적으로 세탁하는 두 가지 방식의 비율이 상당수를 차지한다. 이런 업계 내 선두기업의 최신 분포도를 살펴볼 때, 후자의 경영방식이 향후에 주를 이룰 것으로 예측된다.

베이징 유명한 모 세탁 프랜차이즈 매장의 매니저 말에 따르면, 매장 면적과 인건비 등을 계산해 볼 때, 첫번째 타입으로 중형의 세탁소를 오픈하면 데스크 서비스 담당자, 세탁 및 다림질 기술자 등 최소 3명을 고용해야 하고, 매장 면적은 20 제곱미터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투자금을 계산해 볼 때, 가맹비와 설비 비용등을 포함하면, 일회성으로 인민폐 50만에서 60만 위안 정도 투자해야 하는데, 이는 일반 투자자들에게는 다소 높은 투자금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중앙공장점' 혹은 '가족세탁소' 방식은 경영 원가를 절약할 수 있으며 효율이 향상되며, 직원의 안정과 전문화에 유리하다. 이 외 대도시의 공간적인 제한과 주민들의 외관에 대한 불만 등을 고려했을 때, 중앙공장세탁매장이 전통적인 단독매장보다는 훨씬 더 우세를 지닌다.

대만 자본을 투자해 만든 상왕(象王)세탁 프랜차이즈 매장을 예를 들어보면, 이 기업은 최근 항저우에서 최초로 자동화 중앙세탁공장을 오픈하였다. 고객들은 각 매장에서 의류를 맡길 때 영수증 번호로 세탁 과정을 컴퓨터로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공장에서는 자동화 세탁 시스템을 도입했는데, 과거 사람이 다리미를 다리는 데 8분 걸리는 걸 10초로 단축했다. 한 공장에서 시간당 600벌 이상의 의류를 세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영방식은 한 면에서는 품질 체크를 하는 데 유리하고, 다른 면에서는 폐수, 폐기들을 집중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중소형 투자자들에게 프랜차이즈 매장이 비교적 편리한 입문방식이지만, 자체 브랜드 개발자에게는, 이러한 자동화 다림질 설비에 대해 국산품을 사용한다 할 지라도 최소 150만 위안이상을 투자해야 하는 많은 부담감을 안게 되기에, 어느 정도 실력있는 기업들에게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세탁업계는 비수기와 성수기가 현저히 드러나는 업계이다. 일반적으로 성수기는 10월부터 후년 4월까지이다. 그러나 중국 내륙 기후 환경, 의류 습관이 각 지역마다 상이하다.

세탁업계 종사 희망자는 우선 경영환경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하나는 현지 기후와 사람들의 의류 생활습관을 파악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한랭성 기후 기간이 짧은지 긴지, 추계와 동계에는 양털 외투 위주로 입는지 아니면 오리털, 가죽외투를 입는 지 등등 말이다.

보통, 중국 내륙 남방지역에서는 옷을 가볍게 입기에 드라이 크리닝과 손세탁 비율이 각각 반반씩 차지한다. 그러나 북방지역의 사람들의 드라이 크리닝 서비스 사용 비율은 70~80% 정도된다.

이 외에 대기 환경 품질이 세탁 소비 총량에도 영향을 미친다. 대기 오염이 덜한 곳에서는 세탁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다.

둘째로는 소재지의 주민들의 소비특성을 파악해야 한다. 세탁 기호, 세탁 소비가격, 브랜드에 대한 민감도 등. 비, 성수기에 따른 각기 다른 경영방법 및 일반성과 특성을 모두 지닌 서비스를 마련해야 한다.

세탁소는 보통 거주지역 혹은 대형마트 내에 마련되어 있다. 만약 거주지역을 선택한다면 근처에 2,000가구 이상의 주민이 거주하는 곳이 적합하고, 기존의 세탁소로부터 1km 이상의 거리를 두는 곳이 좋다. 대형마트 내에 개설하는 것은 유동량 및 대형마트 규모와 환경, 주요 소비자들의 마트까지의 편리성과 빈도 등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또한 빠른 세탁과 세탁 픽업 및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또한 인기가 많다. 비록 가격이 일반 세탁소에 비해 2배 이상이나, 요즘 일부 기업들은 세탁소 카드를 직원 복지로 발급하기도 한다. 적절한 지역과 경영방침 하에, 기업 고객을 타켓으로 하는 영업 또한 세탁소의 시장 개척 전략이라고 할 수 있겠다.

추천 게시물
최근 게시물
보관
태그 검색
공식 SNS 페이지
  • Facebook Basic Square
  • Twitter Basic Square
  • Google+ Basic Square
bottom of page